중국에서 오는 여행자, 뉴질랜드에 못 들어온다

중국에서 오는 여행자, 뉴질랜드에 못 들어온다

NZtimes 댓글 0 조회 3093 추천 0
20200207_top_news_01.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차원…2월 3일(월)부터 시행

뉴질랜드 정부는 2월 3일(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뉴질랜드에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에서 오는 여행자 입국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최대 14일 동안 시행될 예정이다. 이 제한 사항에 관한 판단은 48시간마다 검토한다.

새로운 제한 사항.

▷2020년 2월 2일(NZ 시간) 이후 중국 본토를 경유했거나 중국에서 출국한 모든 외국인 여행자는 뉴질랜드 입국이 거부된다 ▷2020년 2월 2일 뉴질랜드에서 환승하는 외국인 여행자는 뉴질랜드 도착 시 강화된 검사를 받은 후, 이상이 없으면 뉴질랜드 입국이 허가된다 ▷뉴질랜드 시민, 영주권자와 그들의 직계 가족은 뉴질랜드에 입국할 수 있지만, 귀국 후 14일간 자진해 격리 조치를 해야 한다.

2월 2일 기준 중국 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원지인 후베이성에서 온 여행객을 대상으로 입국 금지하거나 체온 측정 등의 조치를 하는 나라는 미국, 싱가포르를 비롯해 60개 나라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도 14일 이내에 후베이성을 방문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자신다 아던 총리는 성명을 통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얼마나 전염될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는 사전 예방 조처를 하고 최근에 중국에 있었거나 중국 본토에서 뉴질랜드로 여행 오는 사람들을 일시적으로 입국 금지해야 한다는 보건 당국의 조언을 받아들였다”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바이러스로부터 뉴질랜드 국민을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윈스턴 피터스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이번의 조치는 쉽게 결정된 사항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이번 결정은 공중 보건을 위한 것이다. 임시 제한 조치는 사람 간 감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차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뉴질랜드에는 2월 2일 현재 아직 확진 환자가 없고 발병 위험도 낮다. 앞으로도 계속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싶다. 뉴질랜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다”라고 강조했다.

피터스는 또 “뉴질랜드의 이번 결정에 관해 중국 측과 긴밀히 상의했고, 중국의 바이러스 통제와 박멸 노력에 협조하겠다는 뉴질랜드의 의지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의 발표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중국을 거쳐 온 외국 여행객에 대한 입국도 거부할 것이라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또한, 뉴질랜드 세관은 뉴질랜드에 입국하는 모든 여행자는 자동 입국 심사(eGate)를 사용할 수 없고 일일이 입국 심사관을 거쳐야 입국할 수 있다. 뉴질랜드 세관은 어떠한 승객도 eGate를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뉴질랜드 시민, 영주권자와 그들의 직계 가족이 포함된다.

뉴질랜드 세관은 “모든 사람이 원활하고 효율적인 입국 절차를 마치기 위해서 여행자들이 인내심을 가져 달라고 부탁한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에 설치된 eGate는 오클랜드,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퀸스타운 공항에 있다. 외교통상부는 중국 여행을 가지 말 것을 권고하는 최고 수준의 여행 경보를 발령했다. 앞으로 수일 안에 뉴질랜드 정부는 우한에 갇힌 70여 명의 뉴질랜드 시민들을 송환할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도 ‘국제적 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를 1월 30일 선포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국제적 공중보건비상사태’ 선언

국제 무역·여행은 허용…지원금 약속한 중국 눈치 보기라는 비난도

중국이 지난해 12월 31일 신종 코로나 확진을 공식 발표한 후 딱 한 달 만이다. 하지만 WHO는 국제 무역과 여행 제한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WHO가 국제적 공중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이번이 여섯 번째다. 앞서 WHO는 지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2014년 소아마비와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2016년 지카 바이러스, 2019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까지 모두 다섯 번 선포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지난 몇 주 동안 새로운 병원체의 출현을 목격했다”면서 “이 바이러스가 보건 시스템이 취약한 국가로 퍼진다면 어떤 피해를 볼지 모른다. 그럴 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금 조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향후 국제사회 차원에서 공중보건 조치가 강화되고 자금 및 의료진과 장비 등의 지원도 확대된다. 발원지인 중국과 감염 확산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도 이뤄진다. WHO는 각국에 발병과 관련한 투명한 정보 제공과 감염 환자들의 격리를 요구할 수 있다.

3번째 긴급위원회 회의 끝에 비상사태가 선포되긴 했지만, WHO의 늑장 대응은 도마 위에 올랐다. WHO는 첫 확진자 발표 후 20여 일이 지난 22일에야 첫 긴급위원회를 소집했는데, 당시 중국 밖에서 사람 간 감염이 제한적이라며 비상사태를 선언할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WHO가 주춤하는 사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급속도로 퍼졌다. 대규모 인구이동이 있는 춘제(중국의 설) 연휴 등 현지 사정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해 WHO가 판단을 잘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특히 이번에 국제 무역과 여행을 제한하지 않은 것은 WHO에 600억 위안(약 10조 원)의 지원금을 약속한 중국 눈치 보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안팎에서 후베이성과 우한시 등 당국의 초기 대응에 대한 질타가 높은데도,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WHO는 중국의 전염병 통제 능력을 지속해서 신뢰할 것”이라고 하는 등 중국 두둔으로 일관했다.

중국으로서는 국제 무역과 여행을 제한하면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해 이 조치를 꺼릴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WHO는 앞서 2014년 에볼라 비상사태 선포 때도 여행과 교역 제한을 권고하지 않아 실효성이 없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2월 5일(수) 오전 10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20,704명이 감염됐고 427명이 사망했다.

                                                           뉴질랜드타임즈

저작권자 © ‘뉴질랜드 정통교민신문’ 뉴질랜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게시글에 달린 댓글 총 0



애드 프라자